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통신/전략과 정책

네트워크 기술, 클라우드서비스의 미래를 정의한다

[사람중심]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은 한정된 IT 자원만으로도 다수의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IT 서비스를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물리적인 자원을  리소스풀로 묶어 놓은 상태에서 필요한 고객·서비스에 배치하고, 증설/감축하고, 회수하고, 재배치하는 것을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장점이 있는 만큼 새로운 문제도 생겨납니다. 좁은 공간에 많은 장비가 그물처럼 연결되어 있는데다가, 가상머신(VM)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하고, 한정된 네트워크 위에서 여러 VM들이 저마다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하며 얽혀 있다는 점입니다. 한눈에 들여다 보면서, 쉽고 강력하게 운영하기가 쉽지 않은 구조라는 것이죠.


결국 성능 보장, 유연성, 단순성 등 클라우드 서비스 발전의 열쇠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습니다. '저렴한 IT'가 아니라, '비즈니스 IT'가 되려면 가상·클라우드 환경을 운영하고 이용하는 것이 저렴하면서도, 매우 단순해야 하고, 장애와 보안에 강해야 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전반을 꿰뚫어 볼 수 있어야 합니다.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최근까지 IT 하드웨어를 얘기할 때 (누군가 교육을 한 것도 아닌데)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라는 순서를 지켜왔습니다. 지금도 이런 관행(?)은 바뀌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서버와 스토리지 사이에서 데이터를 실어나르는 짐꾼 취급을 받았던 네트워크가 클라우드·가상화 시대에는 180도 달라진 위상을 갖게 되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산...네트워크의 역할과 도전과제

커다란 창고 속에서 통째로 관리되는 IT 리소스를 하나의 'IT 서비스'로 묶어 여러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것도, 복잡한 가상환경에서의 통신을 단순하게 만들어주는 것도, 각각의 가상환경에 맞는 정책을 집행하는 것도, 그러면서도 보안과 성능을 최고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성능과 효율성, 안정성과 안전성을 책임지는 것이 네트워크의 역할입니다.


그런데 네트워크가 이런 막중한 역할을 잘 수행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물리환경과 가상환경이 뒤섞여 있는데다가, 서로 다른 목적과 정책을 가진 많은 사용자가 뒤섞여 있고, 네트워크 관리·운영은 자동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문제점이 이렇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1) 새로운 사용자가 끊임없이 들어오고 나가는 Cloud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Cloud 서비스를 처음 사용할 수 있게 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2) 구성 뒤에도 설정된 네트워크 환경이 효율적으로 구동되고 있는지 확인하기가 어렵다.

3) 초기 구성 이 후 Cloud 환경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가상머신이 그 물리적인 위치를 변동하고자 할 때 이에 맞추어 매번 네트워크 구성을 수동으로 바꾸어주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4) 사용자가 특정한 네트워크 서비스(예를 들어, 방화벽이나 로드밸런서)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이것을 동적으로 추가해 주는 작업도 매우 어렵다.


클라우드이더넷포럼, 오픈 클라우드 프로젝트 돌입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네트워크가 겪고 있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의미 있는 행보가 시작되었습니다. 2013년 5월 출범한 '클라우드이더넷포럼(CEF)'이 <오픈 클라우드 프로젝트>를 시작한 것이죠(CEF의 미션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표준을 정의하고, 벤더와 서비스사업자 모두에게 필요한 엔드-투-엔드 애플리케이션은 만드는 것입니다.). 



3월말 미국에서 열린 '넷이벤츠 2014' 행사에서 CEF 관계자를 만날 기회가 있었습니다. CEF는 지난해와 올해에 걸쳐 미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5가지 중요한 요소를 정의했는데, 가상화(V), 자동화(A), 보안(S), 프로그래머빌리티(P), 분석(A)이 그것입니다. 그리고 6개의 유스케이스도 선정했습니다. 보안, 멀티테넌시, 스토리지, API, 클라우드서비스 딜리버리, 클라우드 인터커넥트입니다.


5대 요소와 6개 유스케이스를 정의한 다음 스텝은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서비스에 들어가는 모든 내용을 정의하는 것이라고 보면 되는데, 액세스 네트워크와 데이터센터 사이의 인터페이스, 가상머신과 물리적 네트워크 장비의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했다고 합니다.


실리콘밸리의 테스트랩 & 전세계 SP의 테스트베드

오픈 클라우드 프로젝트를 위한 CEF의 스텝1은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적용한 '레퍼런스 테스트베드'를 만드는 것입니다. 1) 캐리어 이더넷 2) 네트워크기능가상화(NFV) 3) 소프트웨어정의네트워크(SDN) 이렇게 세 가지 테스트베드입니다.


스텝2는 6개의 유스케이스를 레퍼런스 테스트베드에 적용하는 일입니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실리콘밸리의 랩에 랙을 구축했고, 다음으로는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전세계에 디플로이하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 세계 곳곳의 SP들이 서로 연결되어 글로벌 레퍼런스 테스트베드가 만들어지는 것이죠. "이렇게 만들어진 글로벌 테스트베드를 통해 개 유스케이스를 빠르고 쉽게 테스트를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 CEF 측의 설명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핵심 요소를 정의하고, 유스케이스와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정립하고, 테스트베드를 만드는 이 일련의 작업은 무엇을 위한 것일까요? CEF 관계자는 그 이유를 두 가지로 정리해주었습니다. ▲표준 개발을 촉진하는 것 그리고 ▲베스트 프랙티스를 통해 가이드라인 만드는 것입니다.


'오픈 클라우드 프로젝트'는 주요 벤더 및 클라우드SW 공급업체, 통신사업자, 케이블사업자들이 중심이 되어 추진하고 있습니다. CEF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MEF(Metro Ethernet Forum)의 240개가 넘는 회원사들도 이 프로젝트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MEF 낸 챈 의장은 "향후 네트워크 보안과 애플리케이션 성능관리는 굉장히 중요한 영역이 될 것이다"라며, "오픈 클라우드 프로젝트는 NFV, SDN 및 캐리어이더넷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오픈 테스트 프로세스를 만드는 작업이다. "고 이번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CloudE 1.0..."클라우드 서비스의 미래모델 제시한다"

CEF는 오픈 클라우드 프로젝트를 추진을 통해 올해 안에 '클라우드 이더넷 1.0(CloudE 1.0)'이라는 초기 레벨의 클라우 서비스 기준을 내놓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습니다. 초기 레벨이라고는 하지만, 다양한 표준단체들과 협력해서 클라우드 상호운용성의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정의하는 작업이기에게 이 프로젝트가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에 미칠 영향은 적지 않을 것입니다. 


CEF 측은 "'CloudE 1.0'이 클라우드 서비스의 미래 모델이 될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지금까지는 개별 기업에서 저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해왔지만, 이제 이 분야의 유력한 기업들이 머리를 맞대고 상호운영성을 지닌 모델을 만드는 것인 만큼, 클라우드 서비스의 안정성도 발전 속도도 이전과 다른 수준으로 올라설 것을 기대해 볼 수 있겠습니다.


스파이런트커뮤니케이션즈의 제프 슈미츠 부사장은 "네트워크 업계에서 상대적으로 새로운 개념인 NFV, SDN, 캐리어이더넷 이 세 부문을 통합하는 것은 오픈 클라우드 환경의 큰 도전과제"라고 말했습니다. "구축할수록 더 저렴하고, 더 신속하고, 더 쉬운 글로벌 데이터센터"는 클라우드 이더넷의 발전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목표일 것입니다.


<김재철 기자>mykoreaone@bi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