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와이브로

제4 이통사 4수 실패...무엇을 위한 실패인가? 【사람중심】 제4 이동통신 사업자 출범이 또다시 무산됐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1일, 기간통신사업 허가 심사위원회를 열었는데, 허가를 신청한 한국모바일인터넷(KMI)과 인터넷스페이스타임(IST) 모두 허가기준인 70점에 미달(100점 만점)해 부적격 판정을 받았습니다. KMI 64.210점, IST 63.558점을 받았습니다. KMI와 IST가 탈락한 가장 큰 이유는 재무능력. KMI는 재무능력에서 100점 만점에 60.08점으로 가까스로 과락을 면했고, IST는 53.14점에 그쳐 항목별 합격선(60점)을 넘지 못했다는군요. 방통위 측은 “두 신청법인 모두 시장상황을 지나치게 낙관하고 있으며, 주주들의 자본조달에 신뢰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는군요. 탈락한 KMI와 IST는 제4 이통사업 허가가 .. 더보기
국가재난망 검토 10년, 아무 재난도 없었던 것에 감사! [사람중심] 천재지변이나 대형 사고 등 비상 상황에서 공공기관의 통신을 하나로 묶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사업이 자가망을 주축으로 하면서, 상용망을 보조망으로 연계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한국전자파학회는 지난 주말 재난망 2차 설명회를 열고 ▲와이브로 기반 자가망에 상용망 보완 ▲테트라 기반 자가망에 상용망 보완 및 연결이라는 두 가지 안을 내놓았습니다. 2012년. 국가재난망 검토 10돌 원래 국가재난망 구축은 2003년 2월에 일어난 대구지하철 방화 사건 이후 필요성이 제기돼 당시 정보통신부의 기술 검토를 거쳐 주파수 공용 통신 기술인 테트라(TETRA) 자가망 구축이 결정되었습니다. 재난망에 필요한 기술을 높은 수준에서 구현하고 있는데다, 국가재난망을 구축한 거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이 기술.. 더보기
세계 첫 모바일 방송 DMB…폐인은 ‘관치’ [사람중심] 위성DMB 서비스가 고사 직전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세계 최초의 모바일 방송 서비스’임을 자랑했던 이 서비스가 현재로서는 회생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도 없는 수준인가 봅니다. 위성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몰락은 어찌 보면 오래 전부터 예견된 것이었습니다. 모기업 SK텔레콤의 후광과 대대적인 홍보,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까지 곁들여져 그 출발은 화려했습니다. 하지만, 모바일 방송에 이해가 부족하던 시절에 콘텐츠가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서비스가 성공을 하기란 쉽지 않았습니다. 무료인 지상파DMB는 위성DMB에 큰 위협이었고, 내비게이션 공급사 및 SKT와 손잡고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를 패키지로 제공하는 시도도 크게 재미를 보지 못했습니다. SK텔레콤.. 더보기
LTE vs. 와이브로…이번이 마지막인가? 【사람중심】통신사들의 광고가 언제부터인가 4G를 전면에 내걸고 있습니다.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은 이달 들어 LTE 서비스를 시작했고, 여기에 맞서는 KT는 와이브로를 가지고 4G 대응을 하는 구도입니다.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해 언론들이 내놓는 4G 관련 기사도 점차 늘어나는 분위기입니다. 종합일간지들이 4G 기사를 본격 쏟아내기 시작하는 걸 보면, 이제 4G 시대가 도래하기는 했나 봅니다. 휴대전화 같은 모바일 단말에서 현재 집에서 쓰는 광랜과 같은 속도인 100Mbps 서비스를 이용하는 꿈같은 일이 현실에서 일어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4G가 기사꺼리가 되면서 4세대 통신기술이 가져 올 서비스 경험의 변화나, 통신 산업의 생태계 변화, 통신사 간의 역학 관계 같은 것보다 더 인기를 끄는 주제.. 더보기
[넋두리]와이브로+3G 모뎀의 족쇄를 풀면서... 【사람중심】 지난주 드디어 족쇄를 풀었습니다. 무슨 전자발찌 같은 것은 아니고, 무선 인터넷 모뎀 약정이 끝난 겁니다. 저는 KT의 와이브로+3G 콤보 상품을 쓰고 있었습니다. 지난해 9월에 신청해 올해 6월에 단말기를 잃어버렸는데, 사실 아깝지는 않았습니다. 이미 5월부터 아이폰을 쓰고 있었으니까 말입니다. 어차피 매달 3만원 넘는 금액을 1년 간 낼 수밖에 없는 계약이고, 더 이상 이 모뎀이 필요 없었으니까요. 아이폰을 사고 테더링 기능을 쓰면서 KT에 문의한 적이 있는데, 기존 무선 인터넷 모뎀 고객은 어쩔 수 없었다고 하더군요. 사실 기대를 하고 문의를 한 것은 아니었지만, 속도가 느린 3G, 삼성동 빌딩 고층이나 깊숙한 회의실에서는 거의 무용지물인 와이브로를 털어내고 싶은 마음은 꿀떡같았습니다... 더보기
연이은 태풍…와이브로 재난통신망은 언제쯤? 【사람중심】 태풍 곤파스로 온 나라가 큰 피해를 겪었습니다. 제가 사는 아파트도 뿌리째 뽑힌 가로수가 셀 수 없을 지경입니다. 통신사들의 통신망이 불통 사태를 겪었다고도 하는데,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또다시 태풍이 온다고 하니 문득 ‘국가통합망’은 어떻게 되고 있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우리나라는 2002년 대구지하철방화사건 이후 국가통합망(국가통합지휘무선통신망) 구축을 검토해 일부 추진해오다 2008년에 중단이 된 상황입니다. 대규모 재난이 일어났을 때 통신방식을 통일해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지 않은 것이죠. * LTE가 공공안전 통신에 성공했다고! 알카텔-루슨트는 6일, 미국에서 공공안전 기관들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력(band 14)에서 LTE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콜 연결에 성.. 더보기
퍼스널 브로드밴드, 와이브로의 꿈은 어디 갔나? 2011년 연말이 되면 LTE 장비의 전세계 매출 규모가 WiMAX(와이맥스) 매출 규모를 넘어설 것이라는 IDC의 전망이 나왔다. 시장조사기관 IDC는 2014년이 되면 LTE 장비 시장 규모가 80억 달러가 될 전망이라고 밝혔는데, 첫 상용화가 시작된 2010년의 장비 시장 규모가 10억 달러 안팎인 것과 비교하면 단기간에 시장이 급성장할 것이 예상된다. (관련기사 - 2011년 엇갈릴 운명…LTE vs. WiMAX) 세계적인 시장조사기관이 발표한 이 같은 조사 결과는 우리 정부 관계자 및 일부 기업 입장에서는 못마땅한 소식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이 같은 뉴스가 국내에서는 조금 생소할 지도 모르겠다. IT 업계에서도 통신이 아닌 다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 가운데는 와이맥스(와이브로)가 4G 시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