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통신/전략과 정책

네트워크 벤더, ‘노는 물’로 구분되나?

【사람중심】 최근 몇 년 간 네트워크 전문업체의 인수합병 및 해체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얼마 남지 않은 네트워크 전문업체들이 앞으로 어떤 길을 걸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지난 몇 년 간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전문업체의 수는 크게 줄었습니다. 쓰리콤이 HP에, 파운드리네트웍스가 브로케이드에, 포스텐네트웍스가 델에 인수됐습니다. 네트워크 업계에서 가장 급성장 중인 무선랜 분야에서도 콜루브리스가 HP에, 트라페즈가 주니퍼에 인수되고 말았습니다. 데이터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시스코와 이동통신 분야에서는 에릭슨, 알카텔-루슨트 등과 자웅을 겨루던 노텔은 아에 회사가 여러 조각으로 나뉘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데이터 네트워크 분야 최대 기업 시스코시스템즈는 UCS(Unified Computing System)이라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용 하드웨어를 만들어 활동 영역을 확대했고, 2위권을 형성했던 알카텔-루슨트는 기업용 네트워크 사업부문을 분사 또는 매각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클라우드·가상화 지원 능력 대두

네트워크 업계의 변화는 인수합병으로 전문업체의 수가 줄어든 것 외에도 활동 영역, 활동 방식의 변화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시스코가 UCS를 발표한 이후 ‘가상화’와 ‘클라우드 컴퓨팅’은 네트워크 업계의 큰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하이엔드냐 로우엔드냐’, ‘대형 SI들과 손잡고 규모가 큰 사업에 참여하느냐’가 아니라, 가상화·클라우드를 지원하는 능력을 갖고 있느냐가 기술력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부상한 것입니다.

이전까지는 단순히 서버, 스토리지 전문업체와 공동으로 장비를 납품하는 수준이었다면, 클라우드 시대가 되면서 부터는 어떻게 하면 가상화된 서버·스토리지와 똑똑하게 네트워킹을 할 것인지를 제시하면서 협력하는 상황이 되었다고나 할까요. 네트워크 벤더로 가상화 네트워킹의 비전을 제대로 제시하는 벤더와 그렇지 못한 벤더고 구분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시스코가 UCS를 내놓고, HP가 쓰리콤을 인수하고, 델이 포스텐을 인수하면서 새로운 기류가 형성되었습니다.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를 모두 보유하고 있는 업체와 네트워크만 가진 업체로 구분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물론 이러한 기류는 네트워크를 보유하지 않은 서버 업체에도 적용되는 것이지만, IT 프로젝트에서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쪽은 서버 공급업체이기에 체감 온도가 다를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클라우드 시대, ‘서버+네트워크’ 옵션의 강점

이 같은 상황은 전체 네트워크 시장에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데이터센터, 더 정확하게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구축되는 데이터센터에 적용되는 룰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고객(기업)의 입장에서는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를 단일 벤더에게 공급받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모델입니다. 가상화가 되면서 IT의 복잡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데, 각 시스템 간의 완벽한 연동과 통합 관리라는 측면에서 여러 벤더의 솔루션을 결합하는 것과 단일 벤더의 솔루션으로 구축하는 것은 느낌이 다릅니다.

아직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가 조금 낯설고, 안정성과 관련해 두려움도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로는 여러 벤더의 솔루션을 묶어서 구축하는 것이 완벽한 연동이나 관리에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기술을 받아들이는 당사자가 그것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때 느끼는 거부감은 이전보다 클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또, 공급가격이나 조건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단일 벤더가 좀 더 발 빠르게 결정을 내릴 수 있고, 가격 정책에서도 좀 더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쓰리콤과 포스텐의 성과

실제로 서버·스토리지와 네트워크를 단일 벤더가 공급하는 효과는 HP에서 확실히 느낄 수 있습니다. HP는 아직까지 네트워크 매출이 크게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합니다. 하지만, 눈에 띠게 달라진 점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다수 수주했다는 사실입니다.

HP는 지난 상반기에 여러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네트워크 장비를 공급했습니다. 그런데, 네트워크 단독 영업을 한 것이 아니라, 서버 영업을 하면서 엔드-투-엔드 시스템 공급 계약을 따낸 결과물입니다. 일부 프로젝트는 네트워크 사업팀이 미처 인지하기 전에 공급이 확정되기도 했다는군요.

계약을 맺는 프로젝트의 성격과 규모가 달라지다 보니, 공급하는 장비의 규모도 달라지고 있습니다. 한국쓰리콤에서 한국HP로 옮겨 간 모 인사는 “쓰리콤 시절에는 국내에 공급 실적이 없었던 최상위 스위치 A12500이 이미 다수 공급됐다. 노는 물이 달라졌다”고 전했습니다.

포스텐네트웍스의 상황도 다르지 않습니다. 지난 8월 26일 델과의 합병이 발표된 이후 브로케이드, 주니퍼와의 협력 관계를 정리하는 분위기입니다. 이들 벤더와 진행하던 프로젝트 가운데 마무리가 되지 않은 프로젝트는 네트워크 장비가 포스텐 제품으로 바뀐 것인데, 포스텐 입장에서는 이미 다수의 사업을 수주하는 효과를 얻었다고 합니다.

시스코는 스토리지 장비를 직접 보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EMC, VM웨어와 조인트 벤처를 만들 정도로 사실상 하나의 회사처럼 움직이고 있습니다. 시스코 역시 USC를 출시하고, EMC와 손을 잡으면서 HP, IBM과 제휴하지 않고서도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단독 수주할 수 있게 됐습니다.


데이터센터 구축, 네트워크 전문업체 설 땅 사라지나?

이처럼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를 함께 보유한 벤더는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서 분명한 결과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전문업체가 누군가 파트너를 물색해서 뛰어들어야 하는 상황과는 분명히 다른 모습입니다. 서버·스토리지 벤더가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느냐를 따지기 이전에, 네트워크 분야를 중심으로 놓고 보면 ‘노는 물’이 달라지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클라우드·가상화 시대에 네트워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물리적으로는 한 대의 서버이지만, 논리적으로 여러 대의 서버(VM)가 가동되는 상황에서 어떻게 각각의 VM에 네트워킹을 제공할지, 각 VM의 QoS는 어떻게 할지, 특정 VM이 다른 물리 서버(또는 데이터센터)로 이동했을 때 네트워크 정책을 어떻게 유지할지 하는 점들이 클라우드 서비스의 성패를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과연 시스템 공급업체 가운데 네트워크 장비가 없는 IBM과 오라클이 어떤 네트워크 벤더를 인수할지도 꾸준히 호사가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시대의 네트워크는 중요한 옵션이기도 하지만, 수익성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입니다. 네트워크가 서버·스토리지 보다는 수익성이 높은 사업이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HP 본사는 “네트워크 장비 사업이 잘 되어야 HP의 전체의 수익성이 향상된다”고 강조하고 있다고 합니다.

만약 IBM과 오라클도 네트워크 벤더를 인수하게 된다면, 남은 네트워크 벤더들은 상황이 더욱 나빠질 지도 모르겠습니다. 서버·스토리지가 포함되지 않은 프로젝트에나 명함을 내밀 수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네트워크 장비를 보유했느냐는 서버 벤더 입장에서는 옵션이 하나 더 있냐 vs. 없냐의 문제이지만, 네트워크 벤더 입장에서 서버가 있냐 vs. 없냐하는 점은 생존권을 크게 위협받는 조건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가뜩이나 그 수가 줄어든 네트워크 전문벤더가 앞으로 몇이나 더 없어지게 될까요?

관련기사 - 네트워크 업계의 시련, 전환기의 홍역인가?

<김재철 기자>mykoreaone@bi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