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통신/전략과 정책

UCS 잇는 또 한번의 도전, 시스코 클라우드버스

[사람중심]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 서버 기업들과 제휴하지 않고 독자 노선을 걸어 온 시스코시스템즈(www.cisco.com)가 또 한 번 새로운 시도에 나섭니다.

시스코 코리아는 7일,‘클라우드버스(CloudVerse)’라는 새로운 슬로건을 내걸었습니다. 클라우드버스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통합해줌으로써 복잡한 클라우드 환경을 쉽게 운영할 수 있게 해주는 통합 프레임워크입니다.

2009년에 있었던 데이터센터용 통합 컴퓨팅 시스템 UCS(Unified Computing System)가 하드웨어 측면에서 클라우드 시대에 대비하는 시스코의 전략을 구체화한 것이라면, 클라우드버스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컨설팅을 아우르는 시스코의 클라우드 철학을 정리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클라우드버스를 포함하는 내용들의 대부분은 기존에 존재하던 것들입니다. 그런데, 클라우드 최적화를 위한 새로운 툴들이 갖춰지면서 완전한 모양새를 갖춘 클라우드 전략을 제시할 수 있게 된 것이 달라진 점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HP나 오라클처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전략을 제시할 수 있게 된 것이죠.

시스코는 ‘시스코 클라우드 버스는 뭐가 다른가?’라는 질문에 “네트워크 분야의 확실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과 고객이 클라우드를 구축했을 때 어떤 것이 비즈니스 모델이 되겠냐 하는 점까지도 고민해서 녹였다는 점이다. 단순히 클라우드에 최적화된 아키텍처를 도입하라는 메시지에 그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경쟁사들이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달리, 시스코는 엔드-투-엔드 솔루션과 서비스 모델만을 제시하기 때문에 훨씬 많은 파트너들과 작업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네트워크가 포함된 오토 프로비저닝

시스코 클라우드버스의 첫 번째 특징은 네트워크가 포함된 오토 프로비저닝(auto provisioning)입니다. 시스코 클라우드버스에는 ‘시스코 인텔리전트 오토메이션 for 클라우드’라는 솔루션이 포함돼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프로비저닝 및 자동화 솔루션으로, 독립된 패키지로도 공급됩니다.

시장에는 이미 많은 프로비저닝·자동화 솔루션이 있습니다. 시스코가 자사의 기존 솔루션에 최근에 인수한 몇몇 회사의 솔루션을 결합해 새로운 패키지를 만든 이유는 네트워크 프로비저닝 때문이라고 합니다. 시스템 벤더나 IT 관리 전문 벤더들이 제공하는 오토 프로비저닝 솔루션은 서버와 스토리지만을 대상으로 하는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것입니다.


시스코 코리아 최우형 부장은 “서버나 스토리지를 가상화해서 VM(가상 머신)을 계속 생성하다 보면, 나중에 생성된 VM들은 IP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클라우드의 주요 목표 가운데 하나인 ‘오토 스케일(auto scale)’이 난관에 부딪힌다”면서 “그나마 잘한다는 데이터센터들이 하는 게 (IP가 같은) 랙 단위로만 VM을 묶는 방법이다”고 말했습니다.

시스코의 주장은 이 같은 네트워크의 한계를 벗어나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위한 진정한 오토 프로비저닝, 진정한 오토 스케일이 될 수 있다는 것인데, ‘시스코 인텔리전트 오토메이션 for 클라우드’는 데이터센터 안의 네트워크 요소들을 아주 세밀하게 자동 프로비저닝할 수 있다고 합니다.


모든 네트워크 장비에 MXL 기반 API 제공

그런데, 여기서 의문이 생깁니다. 시스코도 기존에 ‘VFrame Data Center’라는 프로비저닝·자동화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2007년에 처음 소개한 뒤 계속 개선시켜 온 것으로 기억되는데, 이 솔루션에서도 네트워크 프로비저닝이 지원됐습니다. 그렇다면 ‘시스코 인텔리전트 오토메이션 for 클라우드’는 무엇이 다른 걸까요?

시스코의 답변은 “기존의 시스코 오케스트레이션 솔루션이 가진 네트워크 프로비저닝은 데이터센터 단위였다. 하지만 새로운 솔루션은 보다 세분화된 단위로 네트워크 프로비저닝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해야 프라이빗·퍼블릭·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통합해서 유연하게 콘트롤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시스코는 데이터센터 자동화·최적화에 네트워크 영역이 보다 쉽게 녹아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최근 모든 장비에서 XML 기반의 API를 제공하고 있다고 합니다. 기존에는 네트워크 관리와 관련해 API를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았는데,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서는 다른 시스템·애플리케이션들과 쉽게 붙여서 운용·관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라는군요.


플러그&플레이 가능한 솔루션 패키지들

시스코는 클라우드버스의 또 한 가지 특징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들이 고객의 상황이나 요구에 맞게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는 패키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영상회의+클라우드, VDI+클라우드 같은 서비스와 관련 솔루션들을 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특히 다양한 유형의 맞춤형 솔루션을 시스코가 가장 강조하는 장점입니다. 시스코는 VMware, 마이크로소프트, EMC, 넷앱 같은 IT 기업들과 손잡고 검증된 클라우드용 패키지 솔루션을 만들어 내는 데 공을 들여 왔습니다.


이들 기업과는 개발자들이 결합해 마치 한 회사처럼 움직이며 완벽히 연동되는 패키지를 만드는 것은 물론, 고객의 규모나 사업 특성별로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를 어떻게 세팅하면 최적의 클라우드를 운영할 수 있는지 제시할 수 있는 맞춤형 패키지 모델을 마련해 놓고 있습니다. 시스코는 영상회의와 클라우드 서비스를 결합한 최초의 회사다. 이런 것이 비즈니스 모델이다. 또 시장에서 검증된 26개 솔루션 기업과 에코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VMware·EMC와 함께 하는 브이 블록(v-Block)이 대표적인 경우인데, SMB·중견기업·대기업/SP 등으로 솔루션 패키지가 구분돼 있고, 이 패키지를 도입한 고객은 전력과 네트워크 케이블만 연결하면 즉시 클라우드가 세팅된다는 것이 시스코의 설명입니다.

스토리지 기업 넷앱과는 ‘플렉스 파드(Flexpod)’라는 솔루션을 만들었는데, 기업들이 좀 더 유연하게 pod를 구성할 수 잇게 해주는 데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오픈 소스 서버 가상화 솔루션을 쓰고 싶은 고객은 V-블록을 채택하기 힘들다는 점을 감안해 자사의 UCS와 넷앱의 스토리지를 묶어 하드웨어 인프라까지만 패키지로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UCS 위에 마이크로소프의 다양한 기업용 솔루션을 탑재하는 ‘패스트 트랙(Fast Track)’이라는 패키지 솔루션도 있습니다.


TCO 50% 절감, 15분이면 새로운 서비스 구축

시스코는 클라우드버스라는 프레임워크를 발표하기 전에 그동안 진행해온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구축 사례를 총정리했다고 합니다. “150여 나라에 구축된 15개 데이터센터(시스코 및 고객사)를 표본으로 삼아서 클라우드가 구축되는 과정, 트래픽의 변화, 각 나라의 인터넷 환경까지를 고려해 심층분석을 했다. 그 결과를 놓고 클라우드 시장이 어떻게 움직일까를 예측해서 내놓은 것이 클라우드Verse라는 철학”이라는 것이 시스코의 설명입니다.

시스코는 대기업과 통신사들이 클라우드버스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훨씬 저렴하고 신뢰성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주로 계열사 위주로 서비스를 해온 SI 업체 입장에서는 가격 경쟁력이 있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할 수도 있고, 통신사 입장에서는 기업이 믿고 맡길 수 있는 고성능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최우형 부장은 “15개 데이터센터에서의 테스트 결과, 시스코 클라우드버스를 채택하면 새로운 서비스 개시에 보통 6~8주 걸리던 것이 15분으로 줄어들었다. 총소유비용(TCO)도 50%를 줄일 수 있다(CAPEX는 59%, OPEX는 37% 줄어듦)”면서, “글로벌 톱50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 가운데 72%가 채택한 시스코 클라우드버스야 말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최선의 선택”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에서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는 만큼 네트워크가 완전히 밀결합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서 확실한 경쟁력이 있다는 것이 시스코의 주장입니다. 시스코는 VMware의 세미나에서 미 동부에 허리케인이 일어난 것을 가정해 동부의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서부로 옮기는 데이터센터 모빌리티 시연을 한 바 있는데 15분만에 모든 작업이 완료됐다고 합니다. “이런 것은 시스템 벤더에게서 기대할 수 없는 효과이며, 시스코의 이러한 기술로 데이터센터 미러링을 준비한 고객이 1,500개가 넘는다”고 하는군요.

시스코 클라우드버스는 시스코의 서버, 네트워크, 프로비저닝 솔루션을 쓰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하지만 이런 측면에서는 다른 벤더들도 다를 바가 없습니다. 데이터센터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에서 각자의 강점이 어디에 있느냐가 다를 뿐입니다. UCS로 독자적인 데이터센터 전략의 1단계를 성공적으로 지나온 시스코가 클라우드버스 전략으로 HP, 오라클 같은 플랫폼 벤더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2단계를 열어 갈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김재철 기자>mykoreaone@bi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