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통신/전략과 정책

누군가의 현재를 읽는 빅데이터, 가능할까?

【사람중심】 2000년대 초반 세븐일레븐은 여름철 매출 때문에 고심한 적이 있습니다. 장마철에 당연히 우산이 많이 팔릴 것으로 기대해 많은 재고를 들여다 편의점 앞 매대에 우산을 수북히 쌓아뒀지만, 기대와 달리 매출이 너무 저조했던 겁니다.


전문가를 불러 진단을 했는데, 의외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과거의 매출 데이터를 뒤져 봤더니 전통적으로 장마철에는 우산이 잘 팔리지 않았던 것이죠. 소나기가 내리는 계절과 달리, 장마철에는 대부분 우산을 가지고 다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곁들여졌습니다. 과거 데이터를 한번 들여다보기만 했더라도 범하지 않았을 오류인데, 적지 않은 우산만 재고로 남게 된 겁니다.


그런데, 과거 데이터를 살펴보다 새로운 사실 한 가지를 더 알게 됐습니다. 장마철에 예상 외로 어묵이 잘 팔렸던 겁니다. 눅눅한 장마철, 어디를 가도 에어컨이 쌩쌩 돌아가다 보니 뜨끈한 국물을 찾게 된 것이 이유였습니다. 편의점 앞 매대의 어묵을 매장 안으로 옮겨 최소한으로 운영하고, 매대에는 우산을 잔뜩 진열해 놓았는데...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 내용은 옛 직장에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 관련 계간지를 만들 때, 날씨와 관련된 영업·마케팅 전략 분야의 최고 권위자였던 모 대학 교수에게서 들은 것입니다. ‘빅데이터’가 기업의 경영 화두가 되고 있는 현 시기에도 여전히 되새겨 들어야 할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인터넷 연결된 170억개의 기기 그리고 ‘실시간 빅데이터’

빅데이터가 우리의 생활을 어떻게 바꾸어줄 것이라는 전망들이 무수히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엄청나게 많은 데이터. SNS와 웹 게시판, 인터넷뉴스의 댓글 등 웹상에 떠도는, 사람들의 의견과 취향이 담긴 글들을 잘만 활용하면 좀 더 똑똑한 비즈니스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M2M(Machine to Machine, 사물인터넷)이라는 주제까지 겹쳐서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2017년에는 통신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가 170억개나 될 것이라고 합니다. 이들 기기가 쏟아내는 데이터의 양은 지금 우리가 주목하는, 웹상에서 만들어지는 데이터 못지않을 것이고, 그런 만큼 정부와 기업의 활동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들을 내포하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빅데이터 분석’의 양상도 많이 바뀔지 모르겠습니다. IT 업계에서 흔히 얘기하는 ‘빅데이터’는 대부분 과거의 데이터를 분석해 현재의 취향이나 요구를 유추해 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이 지금 어디에 있는지,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딱 맞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닙니다. 


대상(또는 고객)의 취향이나 반응을 보여주는 과거 데이터를 분석해 마케팅·캠페인을 하는 것은 물론 효과적일 것입니다. 대중이 행동하는 큰 흐름을 짚어내려면 당연히 과거의 데이터를 충분히 분석해야 합니다. 그런데, 현재의 특정 시점·장소에서 그 대상이 가장 관심을 가질 만한, 또는 가장 갈증을 느끼는 정보나 기회를 던져줄 수 있다면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는 또 한 번 진화하게 되겠지요. 


실시간 빅데이터 ‘Data in Motion’

‘과연 그것이 가능할까?’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도전장을 던진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시스코시스템즈입니다. 시스코코리아는 지난주 개최한 ‘Cisco Connect Korea 2013’에서 빅데이터 사업과 관련된 전략을 밝혔습니다. ‘네트워크 장비, 서버 같은 하드웨어가 주력인 시스코가 왠 빅데이터?’라고 의아해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기자간담회에서도 ‘하둡 솔루션 등을 보유하지 않았는데 빅데이터를 얘기하는가?’하는 질문이 나왔습니다. 그러나 빅데이터는 솔루션이나 아키텍처가 아니라, 비즈니스 전략이나 데이터 활용의 접근법으로 봐야 할 겁니다.


시스코의 빅데이터 전략은 지난해 선언한 ‘Internet of Everything’이라는 슬로건에서 출발합니다. ‘만물 인터넷’, ‘모든 것의 인터넷’ 등으로 해석되는데, 기존의 ‘Internet of Things(사물 인터넷)’ 시대와 달리 사람과 사람, 사람과 기기, 기기와 기기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된다는 것이죠. 시스코는 이 시기를 2020년경으로 보고 있는데, 2017년에는 17억개의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되고, 2020년에는 사람과 프로세스, 데이터, 기기 등 모두 500억개의 인터넷 접속 지점이 생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시스코는 이처럼 엄청나게 많은 접속지점들을 연결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빅데이터 분석의 열쇠가 숨어 있다고 말합니다. 네트워크에서 전개되는 모든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면, 누군가의 이동경로를 따라가면서 실시간으로 액션을 취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죠. 시스코는 실시간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한 ‘Data in Motion’이라는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과거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에 무게를 뒀던 ‘빅데이터’와 차별성을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시스코코리아 성일용 부사장은 “하둡은 실시간 정보가 아니라, 축적되어 있는 대용량 DB를 분석하는데 더 적합하다. 하둡이 빅데이터의 모든 것은 아니다”면서, “빅데이터 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실시간 변화·행동을 분석해서 대응하는 것인데, ‘Internet of Everything’을 이루는 네트워크를 정확하게 들여다보는 것은 시스코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빅데이터의 출발은 네트워크다”

시스코는 Connect Korea 2013에서 ‘Data in Motion’에 기반한 빅데이터 서비스를 시연했는데, 아이패드에 앱을 설치한 뒤 코엑스 지도에서 화장실을 클릭하자 화장실까지의 이동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었습니다. 특정 쇼핑몰 앞에 도착했다면, 해당 쇼핑몰에서 진행되는 이벤트나 쿠폰을 아이패드로 제공받을 수도 있습니다.


하이메 바예스 APJC(아시아태평양, 일본, 중국) 총괄 사장은 “실시간 행동을 분석해서 대응할 수 있으려면 네트워크가 그 사람·단말이 어디로 이동했는지, 어떤 앱을 쓰고 있으며, 사용자는 누구인지, 네트워크 상태는 어떤지 등 모든 정보를 알고, 연결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빅데이터의 출발은 네트워크다”고 강조했습니다.



최근 빅데이터와 관련해 이용자의 인터넷 생활을 너무 깊숙이 들여다보는 것을 우려하는 ‘빅브라더’ 논란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이용자의 이동경로와 활동을 세밀하게 체크할 수 있는 ‘Data in Motion’은 빅브라더 논란을 더욱 가열시킬 수도 있는 개념입니다.


그러나 방대한 정보에서 어떠한 경향을 분석해내고, 움직이는 사용자의 실시간 요구사항에 대응할 수 있다면 다양한 영역에서 ‘삶의 질 개선’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겁니다. 공공 부문과 기업 부문이 각 영역에서 축적된 데이터가 모이고, 여기에 실시간 데이터가 결합된다면 보다 통찰력 있는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됩니다. 자연재해나 경기침체 같은 사회적 이슈를 분석할 수도 있고, 심장마비로 사망할 수도 있었던 환자를 긴급구조할 수도 있습니다. 


실시간 변화·행동 분석…‘공공재로서의 빅데이터’

여기 한 시각장애인이 지팡이에 의지해 길을 걷고 있습니다. 잠시 뒤 보도블럭이 깨어져 길이 움푹 꺼진 곳에 다다를 즈음, 지팡이에는 진동이 울리고 귀에 꽂혀 있는 블루투스 이어폰에서는 "전방 몇 미터 지역에 도로 사정이 좋지 않으니 왼쪽으로 세 걸음 옮겨서 앞으로 가세요."라는 안내가 흘러나옵니다... 실시간 분석이 접목된 빅데이터 서비스가 맹인안내견 보다 더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지진 위험이 높은 지역에서는 옹벽을 쌓을 때 콘크리트 속에 센서를 넣어뒀다가 이 센서들의 거리에 변화가 생기는 것으로 지진 위험을 감지할 수도 있습니다. 근처로 이동하는 차량의 내비게이션에 주의경보를 보낸다면 사고를 막아낼 수 있을 겁니다. 성수대교 붕괴 같은 사건에서 이 같은 준비가 되어 있었다면 사고 위험을 감지해 차량들이 다리 위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조치를 취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빅데이터와 관련된 논쟁이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나 ‘빅브라더’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이제는 ‘공공재로서의 빅데이터’라는 새로운 의제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데이터가 공공재로써 더욱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수집·분석되는 정보, 개개인의 이동·위치 정보를 과거의 통계·분석 데이터와 연결시키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사고나 위험을 예방하는 데서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테니까요.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네트워크가 준비되어 있느냐는 질문에 전세계 응답자의 41%가 ‘그렇다’고 답한 반면, 우리나라 응답자는 14%만 ‘그렇다’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우리는 혹시 빅데이터 분석의 목적이나 활용 보다는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솔루션 그 자체에만 열을 올리고 있는 것은 아닐지 한번쯤 돌아봐야 하겠습니다.

관련 기사 - [인터뷰] “빅데이터는 네트워크의 미래다”


<김재철 기자>mykoreaone@bitnews.co.kr